참고문헌

참 고 문 헌

1. 원전류

{論語}, 韓相甲 譯. 서울: 삼성출판사, 1982.
{周易}, 金敬琢 譯著. 서울: 명문당, 1992.
{老子}, 南晩星 譯. 서울: 을유문화사, 1983.
{孟子}, 韓相甲 譯. 서울: 삼성출판사, 1982.
{莊子}, 安東林 譯註. 서울: 현암사, 1978.
{淮南子}, 李錫浩 譯. 서울: 을유문화사, 1982.
{中庸}, 韓相甲 譯. 서울: 삼성출판사, 1982.
張彦遠. [歷代名畵記]. 兪崑 編. {中國畵論類編} 第1編. 臺灣: 華區書局, 1984.
周敦 . [太極圖說]. {周子全書} 卷1. 臺灣: 商務印書館, 1978.
. [通書]. {周子全書} 卷7. 臺灣: 商務印書館, 1978.
二程. {河南程氏遺書}. 臺灣: 商務印書館, 1978.
. [程氏易傳]. {二程集}. 中國: 中華書局, 1984.
朱熹. {朱子語類}, 黎靖德 編. 中國: 中華書局, 1981.
. [大學或問]. {朱子語類} 卷17, 黎靖德 編. 中國: 中華書局, 1981.
. [大學章句]. {朱子語類} 卷14, 黎靖德 編. 中國: 中華書局, 1981.
. {朱子大全}, 束景南 編著. 中國: 福建敎育出版社, 1992.
董其昌. [畵旨]. 兪崑 編. {中國畵論類編} 第6編. 臺灣: 華區書局, 1984.
戴震. [孟子字義疏證]. {戴東原先生全集}. 臺灣: 大化書局, 1978.

2.단행본

葛 路. {中國繪畵 理論史}, 姜寬植 역. 서울: 미진사, 1993.
김인환. {미학·예술학 서설}. 서울: 미술문화원, 1995.
金鍾太. {東洋의 名畵}. 서울: 삼성출판사, 1985.
徐復觀. {中國 藝術精神}, 權德周 외 譯. 서울: 동문선, 1997.
宋 民. {중국 서예미학}, 곽노봉 역. 서울: 동문선, 1998.
이완재. {동양 철학을 하는방법}. 부산: 소강출판사, 1997.
李澤厚. {美의 歷程}, 尹壽榮 역, 서울: 동문선, 1994.
오하마 아키라. {범주로 보는 주자학}, 이형성 역. 서울: 예문서원, 1997.
陳 來. {송명 성리학}, 안재호 역. 서울: 예문서원, 1997.
조민환. {중국 철학과 예술정신}. 서울: 예문서원, 1997.
中田勇次郞. {文人畵 論集}, 정충락 역. 서울: 미술문화원, 1984.

3. 논문류

金敬子. [文人畵의 藝術哲學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金仁煥. [東洋藝術論에 있어서 "氣"에 대한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金鍾太. [中國의 文人畵]. {서예술 논문집}. 이리: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4.
金 炫. [茶山의 中和 개념]. {韓國 實學思想 論文選}. 서울: 불함 문화사, 1994,
민이식. [韓國 文人畵의 현대적 해석과 새 방법론 硏究]. {書藝術 論文集}. 이리: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4.
심상훈. [한국화에 나타난 여백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2.
李在昇. [文人畵 精神性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천팅유. [書藝 美學과 감상(5)], 吳厚圭 편역. {月刊書藝} 1998. 10.
최명순. [회화의 선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영문초록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upon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during the Sung era
Sakong, Hong Joo
Major in Philosoph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im, Soo Mu)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fine the general concept of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which has been applied in too broad an extent, on the basis of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and analyse how the painting, which the literary officials of noble birth began to draw, established its unique esthetic sense by accepting Neoconfucianism, which newly emerged by absorbing and harmonizing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Since this painting was drawn by the literary officials of noble birth who were the painters of the calligraphic school and Confucians, the study on the artistic ideas expressed in their works provide us with the important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thought of the philosophers who were troubled with their times and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y lived. So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the artistic idea of Neoconfucianism is expressed in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The reasons which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after the Sung era are investigated are like this.

First, the presence of the literary officials of noble birth shaped their own society and opened a new chapter in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history. These literary officials were thinkers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of the Confucians of the Sung era and also the painters of the calligraphic school. It was the painting of the calligrahic school that these literary officials draw.

Second, the painting in India ink was actively established during this era.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advanced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in India ink coincided with the thought of the literary officials of noble birth. Third,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emerged after the Sung era and the painter's basic value system was same as Neoconfucian's. So the painting was drawn to reveal the ideal of Neoconfucianism. As mentioned above, the basis of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was Neoconfuciansim, but the study on how the painting was influenced by Neoconfuciansim was hardly established. This is why the concept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has been extended without any limit and explained abstractly, and even most of the paintings in India ink have been included among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So this thesis tries to establish the new concept of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the its unique esthetic sense under what kind of influence by Neoconfucianism during the Sung era.

The mental system of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lies in the implicit scholarly mind. This scholarly mind was the intellectuals' spiritual basis during the Sung era, and its basic thought, Neoconfucianism, harmonized the already-establishe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pursued new artistic idea according to this philosophic thought. The representative esthetic sense in which Neoconfucians' thought was revealed in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which was drawn by the literary officials of noble birth can be said to be the marginal, harmonized, or culminant beauty. So this 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was shaped in the close relation to the neoconfucian thought.

The Ⅱ chapter introduces the general concept of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and indicates its problems and tries to establish the new concept of the painting. And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a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mental char acteristics historically revealed in the panting. The Ⅲ chapter, considering that the ground of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is the thought of the Neoconfucians, analyzes the basic concept of the Neoconfuciansim, which directly influenced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and investigates how its esthetic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The Ⅳ chapter argues what kind of esthetic sense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tries to persue through the real works on the basis of the artistic thought already mentioned in the Ⅲ chapter. In this chapter, in relation to the Ⅲ chapter, centering the Neoconfucianism, the artistic thought expressed in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is investigat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e following can be identified. The philosophical ground of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is the intensive expression of the Neoconfucians, and the painting is what they draw to reveal their value system and spiritual state. It is because the painting is not the professional artists' but the literary officials', who were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of the Neoconfucians, and reveals the spiritual state of the Neocnfucians esthetically. So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is not under the control of the expressions or the techniques revealed in the works, and should be expressed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ical ground lying behind the works. That is, the painters should not worship or be absorbed in the object, should express it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ical ground. And the painting cannot be named as the painting of the calligraphic school in the real sense without the painter's character and spiritual cultivation. So the painter of the calligraphic school should express his mental world without being too particular about techniques or skills.

송대 문인화에 끼친 성리학의 영향
사 공 홍 주

계명대학교 대학원
철 학 과

(지도교수 임 수 무)

(초록)

본 논문은 지나치게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문인화의 일반적인 개념을 성리학과의 영향관계라는 기준으로 규정하고, 문인 사대부들에 의해 그려지기 시작한 문인화가 전통적인 유·불·도사상을 흡수, 융합하면서 새로이 등장한 성리학에 어떻게 영향을 받으면서 독특한 문인화의 미감을 형성하게 되었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당시에 그림을 그리던 사람들은 문인 사대부들로서 유학자이면서, 동시에 문인화가 이었으므로 그들의 작품을 통해 표현된 예술 사상연구는 그 시대를 살면서 고뇌한 철학자들의 사상내용과 그 당시 시대적 상황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은 문인화를 통해서 송대 성리학자들의 예술사상이 어떻게 나타났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송대이후의 문인화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송대 사대부 계층의 등장으로 사대부 사회가 형성되었고, 그 결과 중국의 역사 발전에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되었다. 이러한 사대부 계층은 송대 성리학자들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은 사상가이면서 동시에 문인화가들이 였고, 바로 이들이 餘技로 그림 그림이 문인화이기 때문이다. 둘째, 수묵의 발달이 이 시기에 활발하였다.그러므로 송대 문인들은 수묵이 가진 특징이 그들의 철학 사상과 일치했기 때문에 문인화는 더욱 발전을 하게 되었다.

셋째, 문인화는 송대이후에 등장한 것이고, 문인화를 그렸던 사람들의 기본 가치 체계는 성리학적 세계관이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사대부들이 성리학적 이상을 표현하기위해 송대 이후에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문인화의 기반이 송대 성리학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문인화가 성리학에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문인화의 개념이 무한히 확장되고 추상적이어서 수묵으로 그려진 대부분의 그림을 그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을 정도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 논문에서는 무엇보다 문인화의 새로운 개념을 시도하고 이것이 송대 성리학에 어떻게 영향을 받으면서 독특한 미감을 형성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그들의 정신적 사상체계는 함축적인 문인정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인정신은 송대 지식인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으며, 그러한 사상적 바탕이 된 성리학은 기존의 유·불·도 사상을 융합하고, 또한 자신들의 철학사상에 맞추어 새로운 예술사상을 추구하고 있다. 이렇게 송대 성리학자들의 철학사상이 당시 문인사대부들에 의하여 그려진 문인화 작품에 나타나는 미감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여백미와 중화미, 그리고 의경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인화의 미적 특성은 결국 성리학적 사상과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문인화의 철학적 바탕은 송대 성리학자들의 사상이 집약되어 작품으로 표현되었으며, 문인화는 그들의 가치 체계와 그 정신적 경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그림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문인화는 전문적인 직업화가들이 그린 그림이 아니고, 성리학자들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은 문인사대부들이 그린 그림이며, 송대 성리학자들의 정신적 경지가 미적 특성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문인화는 작품에 나타나는 표현이나 기법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작품 속에 잠재된 작가의 철학적 바탕 위에서 표현되어야 한다. 즉 대상을 숭배하고 대상에 몰입하지 않고 오히려 고도의 정신적 기반을 바탕으로 해야하며, 작가의 인격과 정신적 수양이 없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문인화라고 할 수 없으며, 기법이나 기교에 구애됨이 없이 자신의 내면 세계를 표현해야 하는 것이다.